
| 코리안투어 주역,코리안투어를 말하다① [JTBC골프] | |
|---|---|
| by 운영자 | Date 2018-09-27 12:16:03 | hit 667 |
한국 남자 골프 스타플레이의 산실 한국프로골프협회(KPGA)가 창립 50주년을 맞았다. KPGA는 2005년 코리안투어 출범 이후 저변 확대와 세대교체 등으로 큰 발전의 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코리안투어의 주역인 김형성, 홍순상, 박상현, 허인회가 코리안투어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에 대해 입을 열었다.
Q. 네 선수 모두 KPGA 코리안투어에서 10년 이상 활동하면서 어느새 베테랑 선수들이 됐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데, 지난 10년~15년을 돌아본다면?
A. 김형성 : 젊은 선수들이 투어에 많이 데뷔했고, 선수들의 실력이나 경기력은 굉장히 좋아졌다고 생각한다. 다만 투어의 환경은 10년 전에 비하면 뒷걸음질을 친 것 같아 다소 아쉽다. 미국은 물론 일본이나 중국 등의 대회장은 코스 안에 연습장을 갖추고 있는데 반해 우리나라는 아직 그렇지 않은 코스도 적지 않은 것이 대표적인 예다.
Q. 2007년 시즌에 3승을 거둔 선수를 끝으로 10여 년 동안 절대 강자 없는 춘추전국시대가 된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A. 김형성 : 나도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는데, 코스 세팅에 변별력이 높아지면 5승, 6승도 할 수 있는 선수가 나올 수 있다고 본다.
Q. 일본프로골프투어(JGTO)와 비교하면 코스 세팅 면에서 코리안투어와 가장 큰 차이가 느껴지는가?
A. 김형성 : 코스 변별력도 있지만 대회 컨디션이다. 연습 환경이 너무 떨어진다. 해외로 진출한 선수들이 코리안투어로 돌아오지 않으려고 하는 이유는 대회 수나 상금 규모보다 환경적인 부분이 가장 크다고 본다. 일본투어만 하더라도 시합 환경이 너무 좋기 때문에 대회에 나가 성적이 안 좋아도 받는 스트레스가 크지 않다. 그러나 국내는 그렇지 않아 대회 외적인 것들에 대한 스트레스가 크다. 해외 투어에서 활동하는 선수들이나 외국 선수들을 많이 불러 모으기 위해선 투어 환경이 개선되어야 한다.
Q. 최근 몇 년 동안 코리안투어에 대해 ‘위기’ 또는 ‘침체’라는 이야기가 많이 나왔는데.
A. 김형성 : 개인적으로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환경이 조금 어려워졌다고 하지만 그 안에서도 뛰어난 선수는 계속 나오고 있다. 우리나라 남자 선수들이 여자 선수들에 비해 세계 수준과 격차가 있다는 편견도 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 좋은 선수들이 계속 나오고 있기 때문에 더 발전할 수 있는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 지금은 그저 과도기라는 생각이 든다.
Q. 201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20개가 넘는 대회가 열렸지만 이후 20개를 넘기지 못했다. 적절한 대회 수는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는가?
A. 김형성 : 추석이나 여름 장마 시즌, 겨울 동계 시즌을 빼고 대회가 열릴 수 있는 기간을 감안한다면 11월까지 24~25개는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Q. 대회의 규모와 질 중 어느 쪽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가?
A. 김형성 : 양쪽 다 중요하다. 내 경우에는 10년 째 해마다 30개 대회에 출전하고 있는데 그 만큼 대회에 나가면서 경기 감을 잃지 않을 수 있었고, 실력도 좋아졌다고 생각한다. 아울러 프로 투어의 경우 질은 기본이다. 기량을 늘리려면 연습 환경과 코스 컨디션도 갖춰져야 한다.
Q. 10년 이상 코리안투어에서 활동해 오면서 가장 좋았던 때는 언제였나?
A. 김형성 : 2005년에 코리안투어가 생기면서 대회 10개가 추가됐고, 이벤트 대회도 많이 열렸다. 돌이켜보면 그 전엔 젊은 선수들이 별로 없었는데 그 때부터 실력 있는 신예들이 크게 늘어났다고 생각된다. 미디어에 자주 노출이 되다보니 알아보는 분들도 많았던 걸로 기억한다.
Q. 당시와 비교하면 갤러리들도 달라진 게 있나?
A. 김형성 : 갤러리들의 응원과 골프에 대한 관심이 더 뜨거워졌다고 생각한다. 갤러리는 무조건 많아야 된다고 생각한다. 많은 분들이 오셔서 응원을 해주시면 더 힘이 난다.
(기사 중 김형성 부분 발췌)
.